강원도에서는 지난 1995년 미국의 실리콘 밸리 산업을 모델로 삼아 환경친화적이고 기술집약적인 산업을 춘천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자, 정부가 차세대 10대 성장동력산업 중 하나로 육성하는 생물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. 또한, 1998년 산업자원부로부터"생물산업육성 시범도시"로 선정되어 "생물산업 벤처기업 지원센터" 를 건립하고, 이후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생물의약소재로 특화한 바이오클러스터 구축을 목표로 정부의 지역산업균형발전과 연계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산업인프라를 확충해 오고 있습니다.
청정 자연환경 및 천연자원 보유로 환경친화적BT산업지로 적합 도내 지원체제 및 우수한 바이오클러스터 기반 구축(다양한BT특화 연구소 등) 대학의 활발한 바이오 전문 연구인력육성(6개대학 1,200여명 교수) 바텔, 스크립스 등 해외유수 연구소 유치 및 기업이전증가 경춘선 복선화, 경춘고속도로 개통 등으로 수도권과 접근성 향상 청정자연환경 및 천연자원 보유로 환경친화적BT산업지로 적합 도내BT관련 업체 48%춘천권 집중
사업비전 및 단계별 목표
- 사업비전 및 단계별 목표
- 비전
- 생물의약소재 아시아 바이오 허브 구축
- 목 표
- R&D역량강화 및 고품질 산업 생산 거점 구축
- 통합마케팅 체계 및 국제화 추진
- 바이오산업 광역 클러스터 구축
- 발전단계
- 지방주도의 기반구축
- 정부주도의 기반구축
- R&BD 허브 기반구축
- 아시아 바이오 시장 거점 확보
- 주진전략
- 1998~2002:자생적 특화산업태동
- 2003~2007:역동적 네트워킹을 통한 시너지 전략
- 2008~2012:효과적인 상업화 전략
- 2013~2016:세계시장 진입 및 확보 전략
바이오기업 성정단계별 육성전략
- 바이오기업 성정단계별 육성전략
- 청장보육단계(1단계):벤처기업지원센터
- Bio벤처기업 창업
- 기술개발 및 시제품 생산
- 청장보육단계(2단계):바이오벤처공장
- Scale up 생산
- 시제품 생산
- 자립기반 조성
- 자립단계(3단계):산업단지
- 기업자체 설비확보
- 자립운영
- 대규모 생산체제
- 발굴육성단계:전문인력양성
- 예비창업자 육성
- 전문인력 양성
- 공동연구개발사업
추진방향
- 바이오클러스터 2단계 추진 방향
- 가. BIO Wellbeing 벨트 : 철원군, 화천군, 양구군, 인제군, 춘천시, 홍천군
- 나. BIO 코스메틱 벨트 : 춘천시, 양구군, 홍천군, 평창군, 정선군
- 다. BIO-Hub 구축 : 춘천시, 홍천군
- 라. BIO 의약 벨트 : 화천군, 양구군, 인제군, 춘천시, 홍천군, 횡성군, 평창군, 원주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