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시작
생산동향
- 콩은 저가의 외국산수입, 농촌노동력 감소 등으로 '85년 13천ha 에서 '03년 7천ha 미만까지 재배면적이 감소되었으나 '04년 7,400ha로 증가하였으며, '05년의 경우 전년도 콩가격 급상승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인 재배면적 확대가 있었음.
- 이후, 한미 FTA 등 농업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나, 웰빙 건강 식품으로서 콩 및 2차 발효식품 등이 부각되고 있어 국산 콩 수요량 증가에 따라 재배면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, 강원도는 2016년 현재 전국대비 약 9.0%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.
연도별 콩재배 및 생산동향
연도별 |
전국 |
강원 |
대비(%) |
재배면적(ha) |
생산량(톤) |
면적(ha) |
생산량(톤) |
재배면적 |
생산량 |
'85년 |
155,964 |
233,863 |
13,179 |
20,955 |
8.5 |
9.0 |
'90년 |
152,265 |
232,786 |
10,400 |
15,496 |
6.8 |
6.7 |
'95년 |
105,035 |
159,640 |
6,454 |
8,455 |
6.1 |
5.3 |
'00년 |
86,176 |
113,196 |
7,521 |
10,981 |
8.7 |
9.7 |
'01년 |
78,415 |
117,723 |
7,886 |
10,804 |
10.0 |
9.2 |
'02년 |
80,804 |
115,024 |
7,166 |
11,107 |
8.9 |
6.2 |
'03년 |
80,447 |
105,089 |
6,892 |
8,201 |
10.2 |
7.8 |
'04년 |
85,270 |
138,570 |
7,414 |
12,381 |
8.7 |
8.9 |
'05년 |
105,421 |
183,338 |
10,194 |
17,941 |
9.7 |
9.8 |
'06년 |
90,248 |
156,404 |
8,366 |
15,142 |
9.3 |
9.7 |
'07년 |
76,267 |
114,245 |
6,536 |
10,419 |
8.6 |
9.1 |
'08년 |
75,242 |
132,674 |
6,868 |
11,380 |
9.1 |
8.6 |
'09년 |
70,265 |
139,251 |
7,182 |
14,947 |
10.2 |
10.7 |
'10년 |
71,422 |
105,345 |
7,059 |
10,730 |
9.9 |
10.2 |
'12년 |
80,842 |
122,518 |
6,715 |
11,445 |
8.3 |
9.3 |
'13년 |
80,031 |
154,067 |
7,837 |
14,766 |
9.8 |
9.6 |
‘14년 |
74,652 |
139,267 |
7,546 |
15,534 |
10.1 |
11.2 |
‘15년 |
56,666 |
103,504 |
4,899 |
9,952 |
8.6 |
9.6 |
‘16년 |
49,014 |
75,448 |
4,392 |
8,354 |
9.0 |
11.1 |
콩 재배확대의 필요성
- 고랭지 채소의 연작재배로 인한 토양의 지력저하 및 산성화 방지, 채소 과잉생산에 따른 작목 전환으로 수급 및 가격불안정에 대처하고, 웰빙· 기능성·안전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른 국산콩 수요량 증가에 부응해 확대재배가 필요한 실정이다.
콩 재배확대 추진방향
- 소규모 분산재배에서 집단화, 규모화 재배 유도
- 우량 신품종의 육성 · 생력화 재배기술 개발 보급
- 유통·가공시설 확충 및 가공기술 개발
- 농협, 대형마트 등 계약재배, 직거래 추진을 통하여 안정적인 판로 확보
향후계획
- 식량작물 수급안정화 차원에서 현재 농협이 자율적으로 계약재배하여 전량 수매하므로 지역농협과 협조해 재배면적을 확보하도록 최대한 행정지원을 하고 소포장단위로 판매를 확대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도해 나갈 계획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