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시작
- 비전
- 신동북아 시대를 선도하는 생명·건강산업 메카
- 목표
- 2015년 GRDP 대비 지식기반산업 비중 15% 달성 (4조원)
- 기업육성 : 1,300개
- 고용창출 : 21,000명
- 매출액 : 3조 8,550억원
- 발전전략
- 4·3·2 전략
- 추진전략
- 4벨트
- 바이오산업벨트
- 의료기기산업벨트
- 신소재산업벨트
- ICT산업벨트
- 연계전략
- 3지구
- 바이오메디컬산업지구
- 기능성신소재산업지구
- 헬스케어산업지구
- 2특구
- 중점육성 산업
-
- 전략산업
-
- 바이오 (생물바이오, 해양바이오)
- 신소재
- 의료기기
- ICT
- 3지구 연계사업 (선도 2단계 사업)
-
- 바이오의약 핵심역량 강화사업(의생명바이오)
- 의료기기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업 (전자의료기기)
- 세라믹비철소재부품 경쟁력 강화 사업 (세라믹 비철소재)
- 글로벌 헬스투어 활성화 사업 (헬스테인먼트)
- 2특구 연계 사업
-
- 동계올림픽특수 (스포츠산업단지 조성)
- 동해안경제자유규역 (신북동아 첨단소재산업 허브 육성)
- 특화산업
-
- 신성장동력 육성 사업
-
- 생물의약, 의료단지, 해양바이오 수산물가공, 신소재스포츠, 붉은대게
- 첨단복합에너지, 한방축산, 탄화규소, 생태그린바이오, 헬스케어
- 청정조명, 산천어, 바이오자원, 모터스포츠, 명태가공, 연어사업
-
비전
- 기 투자를 통한 강원도 전략산업의 생명·건강산업의 가시적 효과
- 강원도가 동북아 시대의 중심 및 선도 → 신동북아 시대를 선도하는 생명·건강산업 메카
목표
권역별 성과(2005년)
구 분 |
업체수 |
고용 |
매출액 |
"행복2배, 소득2배"
|
2015년 |
1,300개 |
21,000명 |
3조 8,550억원 |
기존 산업화 단계별 전략 및 향후 추진 전략
- 강원도 제1기 산업화 전략(2001-2005)
- 주요내용 : 거점중심 인프라 구축
- 거점지구 : 춘천, 원주, 강릉
- 추진전략 : 선택과 집중의 거점 전략
- 거점별 주력 산업 : 춘천 -> 바이오산업 / 원주 -> 의료기기산업 강릉 -> 해양바이오 / 신소재
* 거점(춘천, 원주, 강릉)중심의 "3각 테크노벨리 전략"
- 강원도 제2기 산업화 전략(2006-2010)
- 주요내용 : 거점중심 인프라 구축허브 중심의 거점 확산
- 거점지구 : 춘천, 원주, 강릉, 철원 -> 권역중심
- 추진전략 : Hub & Spoke 전략 -> 4대 권역 중심의 허브를 통한 전략산업 성과 확산
* 권역(4대권역) 중심 "광역네트워크화" 487전략
- < 강원도 산업화 전략의 단계별 핵심 전략 및 향후 추진 전략 >
-
-
- 기추진방향
-
- 구분
- 3각테크노밸리전략(2001~2005)
- 핵심
- 거점(3대도시중심)(거점인프라구축)
- 춘천,원주,강릉 거점도시 중심
- 기본전략
- 3대 거점도시
- 중심내용
- 춘천: 바이오
- 원주: 의료기기
- 강릉: 해양바이오/신소재
- 개선점
- 규모의 경제 한계
- 인프라 미비
- Key word
- 3각테크로벨리
-
- 구분
- 3각테크노밸리전략(2006~2010)
- 핵심
- 허브(권영중심)(허브중심확산)
- 춘천,원주,강릉 거점도시 중심
- 기본전략
- 허브 앤 스포크
- 중심내용
- 중심축(허브) 춘천,원주,강릉 허브를 통한 혁신전략
- 개선점
- 행정구역의 한계(협력보다는 경쟁과 갈등의 구도)
- 실질적 협력네트워크 구축 미흡
- 전략산업 협력적 융복항화 미흡
- Key word
- 광역네트워크화
-
- 향후추진방향
-
- 구분
- 강원도 첨단산업 육성 Double ENGINE 전략(2011~2015)
- 핵심
- 벨트(Belt)(규모·연결경제 및 융복합)
- 시·군 동반성장
- 기본전략
- Doubl ENGINE 전략
- 중심내용
- 벨트중심의 특화산업연계 광역클러스터 육성전략
- 개선점
- 지역산없이 유기체적 산업생태계 구축
- Key word
- Doubl ENGINE(Economic Effec, Networking, Growth, Introduction, Needs satisfaction, Employment)
-
- 동반성장을 위한 네크워크 구축
- 효과적인 전략산업 융복합
- 경쟁/갈등/견제보다는 협력의 공동번영
- 실질적인 규모의 경제/연결의 경제 달성
- 한미FTA 대비 전력산업 구조 고도화